해외주식

10.16 시장동향정리

컨텐츠 정보

본문

## 10월 16일 시장 동향 정리


## 주간 이벤트 및 전망 


1) 주간 주요 이벤트 일정


[중동 긴장 확대 가능성과 기업 실적시즌 시작]


(1) 미국 경제 지표


• 이번주 미국 주요 경기 지표 발표 일정은 없으나 금요일 새벽 파월의장의 발언은 챙길 필요가 있음. 연준 의장이 이번 CPI 데이터에 대하여 어떤 시각에서 접근하는지 관찰할 필요가 있음 


(2) 중동 긴장 확대 가능성 


•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에 대해 폭격 가능성이 높아지자 이란이 개입의사를 밝힘. 이에따라 중동 긴장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 


• 이스라엘은 상당히 강경한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이란의 군사시설도 이동을 하고 있다는 소식들이 전해지고 있음 


• 시장은 중동 긴장 확대에 따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번주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것으로 보임


(3) 어닝 시즌 시작 


• 주 초반 금융주 중심의 실적 발표가 있음. 월요일 찰스슈왑, 화요일 골드만삭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 수요일 모건스탠리, 금요일 아메리칸 익스프레스가 예정 


- 주말에 정리했듯 금융주 실적발표에서 미국 신용시장의 동향을 더 살펴 볼 필요가 있으며 전쟁 이슈를 제외한다면 신용시장의 불안정은 향후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이 덜 해질 수 있는 조건이 되므로 나쁜 내용은 아님


• 주 중반 이후 기술주 실적발표가 예정. 수요일 넷플릭스, 테슬라, ASML이 예정되어 있음 


- 테슬라는 3분기 인도량이 예상을 하회하였기 때문에 실적이 저조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함. 다만 최근의 배터리 가격 하락 등이 향후 반영될 경우 마진 우려는 해소되기 때문에 일시적인 변동성으로 판단됨


• ASML은 지난 분기 회계 변경에 의한 실적 개선과 높은 중국 의존도로 실적발표 이후 주가가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는데, 달라진 모습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함


2) 시장 전망 


• 중동 긴장 확대 가능성에 집중할 것. 중동 긴장 확대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가 지속되고 위험자산의 매력이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음 


• 중국은 지난주 인플레이션 지표 악재로 상승을 반납했으나 저점을 확인하고 소비심리가 개선을 보일 것으로 판단됨. 


• 중국은 9월, 수출 및 수입 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월간으로는 개선을 보이고 있고 물가도 월간으로는 +를 보이고 있어 경기부양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


•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은 시장이 안정을 찾는 상황에서 이뤄져야 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지금은 모니터링이 더 중요한 상황


3) 기술주 동향


(1) 테슬라 및 자동차, 배터리, 에너지 동향


• 테슬라


- 테슬라 차량용 자체 API 출시, 향후 자체 앱스토어 출시까지 겨냥 


- 테슬라, 미국내 3분기 전기차 판매 시장 점유 50% 대 유지 지속


• 자동차, 배터리, 에너지


- [전기차] 북미 전기차 평균가격 1년전 보다 

14,000달러 낮아졌다. 


- [BMW] 중국 장성차가 세운 SVOLT와 130억 달러 규모의 배터리 계약 


- [GM, 엘지엔솔] 얼티엄 셀 배터리 합작 투자, 오하이오 산업안전 보건청 벌금 27만 달러에 직면


- [포드] 미시간 주 F-150 EV 생산 공장 교대 근무 일시적 중단 , 공급망 제약 이슈 


- [배터리] '세제 혜택' 노리는 中 배터리, IRA 우회로 찾기 분주


- [배터리] 에코프로 이익 급감, 국내 배터리 업계 불안 


- [에너지] 바이든 행정부, 수소 허브에 70억 달러 지원 


(2) 빅테크, 인공지능 & 반도체 동향 


• 빅테크


- [애플] iPhone 16 Pro는 더 빠른 5G, Wi-Fi 7, 카메라 개선을 제공할 것이라는 소문


- [MS] 영국 규제당국, 마이크로소프트의 690억 달러 규모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 승인


- [알파벳] EU, 알파벳 CEO에게 하마스 공격 후 기술 규정 준수 경고


- [알파벳] 구글, 생성 AI 검색에 이미지 생성 추가…MS ‘달리 3’에 ‘이마젠’으로 응수


- [아마존, 애플] Amazon과 Walmart, Apple에 이르는 기타 주요 기업은 탄소 배출을 줄여야 한다는 소비자, 투자자 및 규제 요구가 증가하는 상황에 직면


- [메타]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Reels의 기능을 업데이트 중


- [엔비디아] GeForce Now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가격 인상


• 인공지능 & 반도체


- [삼성] “日키옥시아·美웨스턴디지털, 합병 계획…삼성 점유율과 비슷해질 것


- [TSMC] 국내 1나노 반도체 공장 증설 계획 무산설 나와 (보조금 및 특혜 문제)


- [삼성전자], '삼성 AI 포럼 2023' 11월 개최


- [오픈AI] 올 매출 1조7000억 돌파..."예측 뛰어넘는 고속 성장


(3) 바이든 행정부 수소 거점 7곳 및 관련 기업


• 캘리포니아 허브 ; 블룸에너지, 아마존, 에어리퀴드, 에어프로덕츠, 액센츄어, AES 등


• 걸프 코스트 (텍사스) ; AES, 에어리퀴드, 쉐브론, 엑손모빌, 미쓰비시, 오르스테드 등


• 중서부 허브 ; 블룸에너지, BP, 플러그 파워 등


• 북태평양 북서부 ; 에어리퀴드, 미쓰비시, 아마존 외 14개


• 애팔래치아 허브 ; 플러그파워, 에어리퀴드, 하이드로젠 외 14개 


• 하트랜드 허브 ; 엑셀에너지, TC 에너지 등


• 대서양 중부 허브 ; 워싱턴 가스, 인디펜던트 외  7 개


## 활기찬 월요일 되세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


공지글


포인트랭킹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