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4.26 시장이슈정리

컨텐츠 정보

본문

## 4월 26일 시장 이슈 정리 

 


 

## 미국 증시 마감 

 

1) 주요 지수

 

- DOW: 33,530.83p (-344.57p, -1.02%)

- S&P500: 4,071.63p (-65.41p, -1.58%)

- 나스닥 : 11,799.16p (-238.04p, -1.98%)

- 러셀2000: 1,745.95p (-42.92p, -2.40%)

 

• 빅테크 실적 발표를 앞둔 가운데 지표 부진등과

맞물려 하락 출발 

 

• 특히 맥도널드 및 GM이 양호한 실적을 발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어제 장 마감후 발표된 퍼스트립퍼블릭 뱅크의 실적 및 예금 급감 소식과 유럽의 대형 투자은행인 UBS와 스페인 산탄데르의 실적발표 영향 등이 투자심리를 위축 시킴 

 

• 중소형 은행의 실적발표 결과 은행 위기는 일단락이 되어가고 있으나 더 이상 금리 인상을 하는 것은 부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국채 금리가 하락

 

• 국채 금리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빅테크 실적 발표를 앞둔 가운데 기술주의 하락이 컸음

 

2) 시장 이슈 정리 

 

(1) 개장전 실적 발표 정리 

 

• 맥도날드, 전년 대비 63% 증가한 이익을 발표함. 인플레이션에 따른 가격 인상 효과를 인정했으나 향후 추가적인 가격인상은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전망함.

 

• GM, 예상을 상회한 매출과 순이익을 기록함. 고급 모델의 매출이 증가하였다고 보고. 다만 인기 차종은 쉐보레 볼트 전기차의 생산 중단 발표와 전기차 가격인하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 등이 경기 지표 등과 맞물려 하락 

 

(2) 경기 지표 

 

•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신뢰지수 ; 현재 상황에 대한 ‘상황지수’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단기전망에 대한 기대지수는 68.1을 기록하며 경기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었음. 

 

• 기대인플레이션은 3월과 동일한 6.2%로 높은 수준을 계속하여 유지하고 있음. 특히 주택, 가전, 자동차 등의 구매 계획에 철회되는 속도가 빨랐음. 

 

# 해설 

 

• 민간의 경기 전망은 상당히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있음. GM의 매출에서도 고급차종의 판매가 증가했다는 부분을 보더라도 소비가 양극화를 보임. 

 

• 당분간 계속하여 경기 침체 우려는 투자심리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 

 

(3) 은행 실적과 연준 

 

• 퍼스트리퍼블릭 외에도 노던트러스트, 팩 웨스트 등의 중소은행의 실적발표가 계속 됨. 실적은 서로 다른 모습이지만 예금 감소는 대부분 은행에서 나타남

 

• 유럽의 대형은행들 실적발표 결과 UBS가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수준의 이익을 발표했음. 08년 모기지 판매와 관련한 소송 준비금 6.6억 달러를 상각한 효과로 이익 급감. 

 

• 스페인 산탄데르 은행은 주 수익 지역인 미국과 브라질에서 이익이 감소하며 이익 증가가 둔화되었다고 발표.

 

# 해설 

 

• 퍼스트리퍼블릭 뱅크를 비롯한 중소 은행의 실적 혼조 및 예금 이탈은 5월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전망을 떨어뜨림. (90%->75%) 

 

• 연준과 각국 중앙은행이 3월 은행 위기로 인하여 위기 해결 방안으로 달러 스왑을 진행했었으나 최근 이 계약의 해제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5월에는 금리 인상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 

 

 • 단 5월이 마지막 금리인상일 가능성이 매우 높음 

 

(4) 기타 이슈 

 

• 바이든 , 재선 출마 선언 

 

## 빅테크 동향 

 

1) 테슬라 

 

• Tesla( 나스닥: TSLA )는 오늘 SEC에 제출한 새로운 10-Q 보고서에서 향후 2년간 자본 지출을 늘릴 계획

 

• 프리몬트 공장 확장 및 개선 진행 중 

 

• UAE택시 회사 Arabia Taxi Dubai로부터 Model 3s에 대한 대량 주문 수주

 

2) 애플 

 

• 애플, 전 세계 리퍼비시 스마트폰 시장 절반 가까이 점유

 

• Apple, 새로운 중국 공급업체와 함께 맥북 생산 다각화 (제조 시설을 인도와 베트남으로 옮기려고 하면서 여전히 MacBook Pro 에 사용하는 중국 회사를 확장)

 

• Apple, 건강 추적을 위한 iPhone 저널링 앱 발표 (저널링 앱 코드명 'Jurassic'은 사용자가 기존 건강 앱에서와 마찬가지로 앱을 통해 일상 활동을 추적)

 

3) 구글 

 

• Google, 사이버 보안에 생성 AI를 제공 (소프트웨어 취약성, 맬웨어, 위협 지표 및 행동 위협 행위자 프로필에 대한 연구와 같은 보안 인텔리전스를 통합) 

 

• Accenture와 Google Cloud, 사이버 보안 복원력 가속화를 위한 파트너십 확장

 

4) 마이크로소프트 

 

• 삼성전자, 마이크로소프트와 손잡고 런던·뉴욕에 '게이밍 허브' 오픈

 

• Microsoft Bing은 복잡한 수학 공식을 표시하여 수학 개념 학습에 유용한 도구로 만들 수 있음

 

5) 아마존 

 

• 아마존, BIPA (생체인증보호법률) 위반 가능성에 대한 주주들이 제기한 소송에서 승소

 

• Amazon, NFT Marketplace 출시 지연

 

6) 엔비디아 

 

• Deloitte, NVIDIA 플랫폼 기반 AI 서비스 제품군 공개

 

• Bleak Faith: Forsaken, Romancelvania, Sherlock Holmes The Awakened를 추가하여 현재 DLSS를 사용할 수 있는 총 290개의 게임과 애플리케이션 지원

 

• Nvidia, AI 기반 텍스트 투 비디오의 기준을 높임

 

• 소프트웨어 제조업체가 AI 모델이 잘못된 사실을 진술하거나 유해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보안 허점을 여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발표

 

7) 메타 

 

• 메타의 트위터 대안 ‘바르셀로나’가 구체화

 

• AI를 따라잡기 위한 Meta의 출격 (회사가 1년 이상 여러 팀에서 생성 AI 제품을 구축해 왔다고 발언)

 

## 반도체 / 클라우드 & 인공지능 동향 

 

1) 반도체 

 

• TSMC, 중국 기반 파운드리에서 미국의 반도체 기술 금지 조치에 직면한 고급 칩 주문을 획득

 

• ASML, 내년 주문 부족은 칩 주문 지연 또는 취소를 고려함에 따라 경제적 의구심을 드러낸다고 보도

 

• Intel, CrowdStrike 및 Zscaler, 제로 트러스트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는 전제하에 이뤄지는 보안 강화 시스템) 보안을 위한 호환 솔루션 공개

 

• SK하이닉스, 中 신규 낸드 공장 준공 연기…직접 매각 유력

 

2) 클라우드 & 인공지능

 

• 전산 과학 및 인공 지능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알테르는 혁신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조 시뮬레이션인 Altair SimSolid Cloud의 출시를 발표

 

• ZScaler와 Rubrik CEO, 클라우드를 보호하는 사이버 보안관련 새로운 파트너십에 대해 논의 

 

• 캘리포니아, 인공지능 법안 제안 (인공지능 도입에 대한 영향을 평가, 인공지능이 사용되어야 하는 이유와 방법 설명, 인공지능 외의 수동적 접근 선택의 자유 허용, 개발자 공개 등이 포함) 

 

## 전기차 & 배터리 / 에너지 동향 

 

1) 전기차 & 배터리 

 

• VW, 북미 지역 최초의 배터리 셀 생산 시설에서 최대 90GWh의 연간 생산 목표

 

• Mercedes, AMG EQE SUV가 내년에 계획된 출시를 앞두고 캘리포니아에서 테스트를 완료하는 모습이 포착

 

• 현대차와 SK온, 조지아에 전기차 배터리 셀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

 

• LG엔솔, 도요타 美전기차 배터리 공급 추진

 

• 테슬라, 중국에서도 다른 차량에 슈퍼차저 개방 

 

• GM, 올해 말 자사 최초의 양산 전기차인 전기 쉐보레 볼트 생산 중단

 

• 삼성 SDI, GM과 3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

 

• 스웨덴 자동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Northvolt, 더 큰 밀도와 더 가벼운 제품으로 항공 전력 공급으로 확장

 

2) 에너지 

 

• 공화당원, Biden의 기후법에서 청정 에너지 인센티브가 자신들의 지역에 유입됨에도 폐지를 지지 

 

• 독일은 특별 기후 보호 기금에서 약 120억 유로의 부족에 직면

 

## 빅테크 실적 정리

 

(1) 마이크로소프트 

 

• 주당 순이익 $2.45를 기록하며 예상 $2.23을 상회. 매출액 528.6억 달러로 예상 510.2억 달러를 상회하였음.

 

• 전년대비 매출 7% 증가, 이익은 9% 증가함. 클라우드 사업 부문 예상치보다 16% 상회. 애져 및 기타 클라우드 사업은 전 분기 대비 27% 성장

 

• PC 시장 부진의 영향으로 윈도우 사업은 마이너스 성장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


공지글


포인트랭킹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