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5.26 시장동향 정리

컨텐츠 정보

본문

## 5월 26일 시장 동향 정리

## 미국 증시 마감

1) 주요 지수

- DOW: 32,764.65p (-35.27p, -0.11%)
- S&P500: 4,151.28p (+36.04p, +0.88%)
- 나스닥: 12,698.09p (+213.93p, +1.71%)
- 러셀2000: 1,754.61p (-12.40p, -0.70%)

• 부채한도 협상이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않는 상황속에 다우지수는 4거래일 연속 하락

• 예상을 상회한 경기지표 발표에 의해 국채금리가 급등하였음에도 엔비디아의 호실적과 강력한 다음 분기 매출 기대에 힘입어 기술주가 상승하며 S&P500과 나스닥 상승 마감

2) 시장 동향 정리

(1) 부채한도 협상 진행 상황

• 재닛 옐런 장관은 부채한도에 도달하면 기한내에 도달하는 자금 지원을 할 수 없다고 경고하며 복지 예산 지급을 미룰 수도 있다는 의미의 발언을 하였음

• 즉, 백악관과 재무부는 플랜B까지 고려하고 있는 상황으로 판단됨

• 캐빈 매카시 하원의장은 6월 1일 이전에 합의에 이를 것이라는 발언과 백악관과의 스태프 논의에서 진전을 이루고 있음을 언급함

• 예산에 대한 차이가 좁혀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은 높아보임

(2) 경제 지표

• 1 분기 GDP 및 기타 지표 (예상치)

- 1.3% VS 1.1% (예상 상회, 2.6% 4분기)
- 1분기 물가지수 ; 4.4% VS 4.0% (예상치)
- PCE ; 4.2% 예상 부합 (3.7% 전분기)

• 상세 내용

- 개인 소득은 임금의 증가로 소폭 증가, 저축은 하락 (개인 소비 증가)
- 도매업과 제조업의 재고투자 감소로 민간투자 둔화

• 신규실업수당 청구건 수 ; 22.9만건으로 예상을 하회했으나 지난주보다는 4,000건 증가

# 해설

• 경기가 둔화 추세에 있는 것은 맞음. 다만 경기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양호한 고용시장 환경에 힘입어 개인 소비가 지탱하고 있는 상황

• 이점이 개인적으로 투자자들께 미국의 경기침체는 약하거나 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망하는 이유

• 채권시장은 그동안 연준위원들의 매파적 발언과 강한 미국 경제 지표에 반응하며 금리가 상승함

(3) 연준 위원들의 발언 (이제는 비둘기 차례)

•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중단하면 그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다.‘며 일시적 중단 시점에 근접했다고 발언함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지만 조정의 징후가 보이고 은행의 대출 요건 강화가 수요를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

• 톰 바킨 리치몬드 연은 총재는 ‘미국이 수요둔화를 보고있다‘는 발언 하였음

# 해설

• FOMC 의사록에서도 확인 했듯 금리 인상과 중단에 대한 의견은 매우 팽팽한 상황이었고 지난주까지 매파 성향의 위원들의 발언이 집중적으로 나왔던 상황

• 연준의 생각이 동결에서 인상으로 기우는 상황이 아니라 연준 위원들의 생각이 표출되고 있는 시점이라 해석하는 것이 맞음

• 연준은 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당분간 지켜볼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 시장 해석

• 빅테크의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함. 최근 섹터 정리를 하고 있는 동안 느껴지는 동향은 글로벌하게 수요 둔화가 있고 이에 대해 빅테크는 새로운 시장을 겨냥하고 있음

• 애플 뿐 아니라 빅테크 대부분이 인도에 투자를 많이하고 있는 것들이 보이는 상황 (인도를 투자하자는 것이 아니라 빅테크가 인도도 노린다는 의미)

• 대부분 기업이 생존이 목표인 시점에서 빅테크는 새로운 시장과 산업에 과감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음

• 알리바바와 텐센트 같은 중국의 테크 기업도 중국이 아닌 다른 우호 국가로 적극적인 진출을 통해 국내에서의 부진을 벗어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이런 활동들이 모두 수요 압박에 따른 다른 시장 공략으로 해석할 수 있음

• 미국, 기술성장주산업 투자는 여전히 유효하고 매크로 이슈인 금리도 다시 안정될 것이므로 일부 비율의 채권 편입도 긍정적인 상황은 변화 없다고 생각됨

## 빅테크 동향

1) 테슬라

• Gigafactory Berlin, 독일에서는 젊은 사람들이 전기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일하는 데 관심이 있기 때문에 회사는 견습생 수를 두 배 이상 늘릴 계획

• FSD 베타, 유럽과 호주 출시 예정

• 영국에서 신규 테슬라 등록 건수 전년대비 10배 증가

• 포드 자동차, 현재와 미래의 전기 자동차를 위한 몇 가지 충전 이니셔티브에서 테슬라와 파트너 관계를 맺을 것

2) 애플

• Biden 행정부, 대법원에 Apple 및 브로드컴의 와이파이 기술과 관련한 캘리포니아공대의 소송에서 패소 후 진행한 항소를 기각하라고 요구

• iOS 17, 아이폰 잠금 화면을 스마트 홈 디스플레이로 바꾼다는 루머

3) 알파벳

• EU, 구글과 AI 오남용 방지 위한 자발적 대책 마련하기로

• PC용 Google Play 게임즈가 유럽과 뉴질랜드에 출시

4) 마이크로소프트

• 인도인이 정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모바일 장치용으로 설계된 AI 챗봇인 Jugalbandi 출시 지원 (인도 표준어가 35개 이상이라 좋은 앱이긴 한데... 문맹률도 30%라서 걱정했는데 음성지원도 된다네요)

•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선두업체인 Informatica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생성 AI 기반 지능형데이터 관리 클라우드를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 강화

5) 아마존

• 아마존, 中서 앱스토어 사업 접는다 (장사도 안되고 미-중 갈등도 있어서 ...)

• Amazon Fresh 매장, 추가 가격 인하 발표

6) 메타

• AI 모델 실행을 위한 맞춤형 칩과 슈퍼컴퓨터 발표

7) 엔비디아

• 젠슨황, 중국 칩 전쟁이 고조되면 '엄청난 피해'를 경고

• 엔비디아 시가총액 7,550억 달러 기록 (1000조, 삼전이 410조..)

## 반도체 / 클라우드 & 인공지능 동향

1) 반도체

• AMD, 슈퍼컴퓨터 시장 점유율 확대 (탑500 리스트에 총 121개 등재해 전년 대비 29% 증가, 그린500 상위 10개 중 7개 차지)

• '인텔 인사이드' 대신 'AMD 인사이드'...윈도11용 AI 가속 프로세서 경쟁 심화

• TSMC “차량용 반도체 생산할 유럽 공장, 순조롭게 협상 중”

2) 클라우드 & 인공지능

• 클라우드기업들 인도 러시 (아마존 2030년까지 130억 달러투자, 알파벳 지금까지 100억 달러 펀딩, 마소 인도최초의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

• MongoDB와 Alibaba Cloud의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

• Snowflake는, Neeva를 인수하여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솔루션에 지능형 검색을 제공

• AI 부작용 막을 '국제 표준' 만든다, 주요국 협력 강화

• 윈도11에 'AI비서' 탑재···웹 접속 없이 바로 사용

## 전기차 & 배터리 / 에너지 동향

1) 전기차 & 배터리

• 메르세데스, 전기 CLA 세단을 통해 내년 부터 미국서 테슬라 모델 3와 경쟁

• 미네소타주, EV 채택을 늘리는 법을 통과

• Stellantis는 고급 소재 회사이자 리튬-황 EV 배터리 기술의 선구자인 Lyten에 투자

• 中,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 국산화

• 中, 저가 배터리로 EU 점유율 2년새 2배로… 1위 한국 맹추격

2) 에너지

• IEA 사무총장, ‘태양광 발전 투자가 처음으로 석유를 넘어섰다’

• 그리드 연결 애플리케이션, 인플레이션 감소법과 강력한 수요 펀더멘털에 힘입어 미국 서부에서 급증

• Solar Alliance, 총 110만 달러에 달하는 5개의 신규 프로젝트 진행

## 즐거운 금요일 되시길 바랍니다.

## 외근일정으로 11시 이후에는 자리를 비웁니다.

## 미래에셋증권 조경상 팀장 / 수석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


공지글


포인트랭킹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