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6.13 시장동향 정리

컨텐츠 정보

본문

## 6월 13일 시장 동향 정리

## 미국 증시 마감

1) 주요 지수

- DOW: 34,066.33p (+189.55p, +0.56%)
- S&P500: 4,338.93p (+40.07p, +0.93%)
- 나스닥: 13,461.92p (+202.78p, +1.53%)
- 러셀2000: 1,873.21p (+7.51p, +0.40%)

• 소비자물가지수발표를 앞두고 경계감 내지 관망심리보다는 인플레이션 완화를 기대하며 매수세 유입으로 채권금리 하락이 나타났고 에센피 52주 신고가로 마감

• 나스닥도 채권금리의 하락과 애플이 최고주가를 경신, 테슬라가 12일 연속 상승마감하며 지수 상승 마감

• 반도체 업종은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에 의한 책권금리 하락과 그동안 차익매물이 나와 매수세가 유입되었고 브로드컴이 새로운 통신칩을 발표와 유럽에서 VM웨어 인수 승인 소식이 전해지는 등의 호재로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가 3.2% 상승

• 빅테크 또한 지난주 차익매물이 나온 애플이 보급형 혼합현실 헤드셋을 출시할 수 있다는 루머와 함께 최고가를 기록하고 마이크로소프트는 미국 공정거래위원회가 액티비전블리자드 인수거래에 대해 인수금지가처분 신청을 할 것이라는 소식이 있었음에도 상승하는 등 빅테크 모두 상승함

• 오라클이 장중 실적발표를 앞두고 코히어와 인공지능 협업을 통해 인공지능실적이 증가할 것이라는 발표를 하며 동사 및 클라우드 섹터 전반적인 상승을 이끌었으며 장 마감후 뛰어난 실적발표로 5% 이상 급등

• 테슬라는 중국 FSD 승인 루머와 최근 공매도가 감소하고 있는 점 등이 확인되며 12일 연속 상승하였음

2) 시장 동향 정리

(1) 소비자물가지수 예상치

• 전일 시황에서 정리했듯 근원소비자물가지수도 하락이 기대되는 상황

• 지표가 나와봐야하겠지만 지난 미국 고용보고서의 수치 내면에는 팬데믹 이후 고용이 부진했던 업종의 고용만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생각할 필요가 있음

• 미국은 모든 것이 정상화를 위해 움직이고 있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인플레이션도 서서히 안정되고 있음

(2) 개별기업의 호재가 갖는 의미

• 금융주와 정유섹터는 실적우려로 하락했으나 기술주는 개별적인 호재들로 상승한 하루였음

• 기술주의 호재 유형은 신기술의 흥행, 다른 산업과 결합하며 형성되는 기대감을 넘어 오라클의 실적발표에서 확인했든 신기술이 실적을 끌어올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시장 해석

1) 기술주의 본질에 투자자는 환호

• 여러번 강조했듯 기술주는 한계를 뛰어넘는 시도를 하고있음. 그 과정에서 실패를 경험하며 시장을 난장판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결론적으로 산업 및 사회의 구조를 변화시켜왔음

• 기술실패에 대한 충격을 피하기위해 빅테크 중심의 접근은 투자자가 해볼만한 시도라는 판단

2) 경기침체는 생각하지 않는다

• 한달간 매주 1만개 수준의 기사 및 문건을 읽으며 발견한 것은 최근 ‘리세션’이라는 단어가 나오는 빈도가 10% 미만

• 오히려 미국 경제가 좋을 것이기 때문에 신흥국에 투자하라는 적극적인 투자의견도 나오는 상황

• 경기는 투자자 및 소비자의 심리가 소비로 연결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구조적인 경제 문제(예를 들면 서브프라임 모기지, 미국 신용등급 강등, 유로존 재정위기)를 배제할 경우 이 심리자체가 경기를 끌어올릴 수도 있음

3) 고점을 잊자

• 애플이 최고가를 기록하였는데 애플 매출의 상당부분이 기기의 판매라는 점을 생각할 때 불가능한 상황

• 경제규모가 커지며 발생하는 가격인상 또는 시장 확장에 대한 현상을 받아들여야함

• 기술주는 최고가를 기록하는 현상이 앞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판단됨

## 빅테크 동향

1) 테슬라

• EV 충전회사 XCHARGE와 Blink Charging, Tesla NACS를 특징으로 하는 EV 충전 거치대를 선보여 (테슬라가 표준이 되어가는 상황)

• 테슬라 차이나, 중국에서 FSD 시범 운영 루머를 일축 (다만 중국 애널리스트는 이달 안에 가능 할 것이라고 예상)

2) 애플

• 애플, 2025년 말 ‘비전 프로’ 보급형 모델 출시한다? (블룸버그는 현재 출시 가격이 너무 비싸기 때문에 대안 모델이 나올 것으로 추측)

• 현재 M3 탑재 15인치 맥북 에어 개발 중 (M3 칩이 빠르면 2023년 말에 개발 완료 될 수 있다고 기대 중)

3) 알파벳

• 쿠웨이트, 구글 데이터 센터 3개 건설 계획 승인

• Google, 60개 이상의 인공지능 언어모델에
접근 가능한 Vertex AI를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허용

4) 마이크로소프트

• Microsoft, 인도 SMB와 협력하여 생성 AI 탁월성 발휘

• LinkedIn의 표적 광고에 대해 4억 2,5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 예정

• FTC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 인수를 차단하기 위한 금지 명령을 제출하도록 설정

5) 아마존

• 서버리스 데이터베이스 기업 PlanetScale, AWS ISV 가속화 프로그램에 합류

• Monzo Bank UK : AWS를 사용하여 4백만 명 이상의 고객이 있는 은행 운영

6) 메타

• Meta의 AI는 WhatsApp에서 소셜 네트워크로 확장

• 메타의 AI 챗봇 메타메이트 곧 도입, 직원만 접근 가능

7) 엔비디아

• 대만 이수 대학, 남부에 AI 개발 센터를 만들기 위해 NVIDIA와 손잡고 국제 강의를 개최

• 두바이, NVIDIA와 함께 AI 컨퍼런스 개최 ('AI 지원 기업가'라는 제목의 컨퍼런스는 생성 AI, 메타버스 및 로봇 공학 분야의 최신 혁신과 개발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

## 반도체 / 클라우드 & 인공지능 동향

1) 반도체

• 삼성전자, 현대자동차와 첫 반도체 거래로 최신 IVI 프로세서 공급

• 네덜란드, 칩 전쟁에서 중국 학생들을 기술 과정에서 금지시키려 함

• 폭스콘, 베트남 정부로부터 20일 저녁 생산 중단 요청

• 메모리 부진 속 한국 수출, 연속 감소

• 독일, 인텔 웨이퍼 팹에 대한 추가 보조금 제공 거부

• AI 붐에도 불구하고 전체 메모리 시장은 여전히 ​​침체 상태

• AI GPU/HPC 칩을 위한 CoWoS 용량을 두 배로 늘리는 TSMC

2) 클라우드 & 인공지능

• 자동차 HPC는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86% 성장전망

• 클라우드 비용 관리 스타트업 CloudZero, 3200만 달러 투자 유치

• SAP, Atlas Cloud Services, 모로코에서 최초의 클라우드 서비스 출시 발표

• 샘 알트만 오픈 AI CEO,  “AI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과 협력해야 한다”

• 구글·MS 빅테크 공세에 ‘네카오’ 생성형AI로 반격 채비

• 오라클-코히어, MS-오픈AI 대항마 되나 (오라클 클라우드 서비스에 코히어 LLM 전면 도입)

## 전기차 & 배터리 / 에너지 동향

1) 전기차 & 배터리

• 2023년 4월 글로벌 플러그인 전기차 판매량 70% 증가 (완전 전기 자동차는 시장의 10%를 차지)

• GM CEO Mary Barra, 새로운 Ultium 기반 Chevrolet Bolt 암시

• BYD & Huaihai, 중국에 Na-ion 배터리 공장 계획

• 미국, 배터리 재활용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1억 9,200만 달러 발표

• Toyota, 미시간 R&D HQ에 새로운 배터리 연구소

2) 에너지

• 미국에서 조립되고 100% 미국산 부품으로 만들어진 태양광 패널의 비용이 이제 수입 태양광 패널보다 30% 저렴하다는 연구 나와 (세금 공제 영향)

• 포드, 독일에 첫 탄소 중립 조립 공장 개장

• Eni, 리비아의 에너지 전환과 관련된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위한 MoU에 서명

## 오늘도 행복하시죠? 오랜만에 좋은 분위기라 너무 좋습니다.

## 미래에셋증권 조경상 팀장 / 수석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


공지글


포인트랭킹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