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6.8 시장동향 정리

컨텐츠 정보

본문

## 6월 8일 시장 동향 정리

## 미국 증시 마감

1) 주요 지수

- DOW: 33,665.02p (+91.74p, +0.27%)
- S&P500: 4,267.52p (-16.33p, -0.38%)
- 나스닥: 13,104.89p (-171.53p, -1.29%)
- 러셀2000: 1,888.45p (+33.05p, +1.78%)

• 기술적 강세장 진입 하루만에 대형주 차익매물 출회로 대형주 지수가 하락했으나 소형주 상승

• 마소, 구글, 아마존 등이 3% 이상의 하락이 나타났고 메타가 2.77% 하락하는 등 빅테크 중심의 하락이 두드러짐

• 엔비디아, AMD를 비롯한 인공지능의 수혜를 받은 반도체 기업이 -5%대의 하락을 보였고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 관련주도 차익매물이 나타났음

• 다만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지속되며 경기 민감주 중 그 동안 소외된 기업들의 상승이 나타난 점은 긍정적이라 할 수 있음

• 테슬라는 보조금 수혜 혜택이 가장 많을 것으로 알려졌고 지난 한주 중국내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며 1.4% 상승함. 다만 다른 자동차 기업은 보조금 혜택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예상되며 큰 폭의 하락이 있었음

• 부채한도 협상 이후 하락한 채권 금리는 다서 상승하였음. 다음주 소비자물가지수와 FOMC 이벤트를 앞두고 채권시장에서도 차익매물이 나온 것으로 판단됨

2) 시장 동향 정리

(1) 중소형주 랠리

• 러셀 2000지수가 이번달 7.8% 상승해 21년 2월 이후 강한 출발을 보이고 있는 상황

• 기업 실적이 상승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대형주에비해 밸류에이션이 낮은점과 3월 은행 위기로 급락했던 점도 밸류에이션 매력을 높임

# 해설

• 중소형주 랠리는 오래 갈 것으로 보이지는 않다는 판단. 이유는 여전히 금리가 높다는 점과 사실상 매력적인 투자처가 많지 않은 심리에서 나타났던 대형주 투자인 상황이 아직도 유효하기 때문

(2) 캐다나 호주 금리 인상

• 캐나다와 호주 중앙은행은 0.25% 금리인상을 단행하며 캐나다의 경우 4개월간 금리 인상 중단을 멈추고 인상했으며 호주는 금리 동결 예상을 깨고 금리 인상을 했음

• 이 영향으로 미국 증시에도 FOMC에 대한 경계감을 주었으며 특히 일본 10년물 국채 금리가 1.8%나 상승했음

# 해설

• 최근 일본 증시 랠리 및 엔저로 인해 일본 주식 투자를 고려하거나 엔화를 보유하고자 하는 투자자의 문의가 많음

• 최근 일본증시 상승은 로보틱스와 관련된 기업의 강세와 엔저가 복합적으로 나타났기 때문인데 일본 주식의 매입에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좋은 판단은 아니라는 생각

• 이유는 엔화의 바닥 가능성 때문. 참고로 엔화는 작년 하반기 달러당 151엔을 꼭지로 하였기 때뭉에 엔화 강세가 나타날 경우 주식 손실가능성이 있기 때문

• 엔화를 보유하는 방법이 오히려 나을 수도 있다는 판단. 특히 일본 수출이 개선되고 경기 지표가 좋아질 경우 엔화는 강세가 나올 가능성이 있으며 최근 엔저에 따라 무역외 수지가 크게 개선될 가능성도 보이기 때문

(3) 기타 동향

• JP 모건, 넷플릭스의 계정 공유 단속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며 목표 주가 상향

• GE, 인도에서 제트기 엔진 계약 수주

• 보잉, 787 드림라이너 결함 발견으로 인도 연기

## 빅테크 동향

1) 테슬라

• 지난주 테슬라 차이나 14,500건의 보험 등록
(그 전주 기록 12,800건을 경신)

• 법원, Tesla-SolarCity 거래에 대한 130억 달러 소송에서 머스크의 승소 판결

• 캘리포니아에서 테슬라 모델3가 토요타 캠리보다 싸졌다...

• 네덜란드 에너지 회사인 Eneco는 수요일 벨기에에서 Tesla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50메가와트(MW) 배터리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를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

• Tesla, 인도에 벤더 기반 설립을 위한 센터의 제안에 동의 (6개월 이내에 인도에서 제조 계획을 제출할 것으로 예상)

2) 애플

• Apple, AR 헤드셋 스타트업 Mira 인수 (Mira는 로스앤젤레스에 소재한 미군용 헤드셋 제조기업, 이미 동사 직원 11명이 애플로 이동)

3) 알파벳

• 구글, 인도서 사용자 확보 추진한다. (구글은 인도어 서비스를 확대하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생산 비용을 낮춰 인도 사용자 유치 노력)

• 호주 최대 퇴직연금 펀드 중 하나인 UniSuper는 Google Cloud를 데이터 센터 혁신을 위한 우선 클라우드 제공업체로 선택


4) 마이크로소프트

• 세계 선두의 엔터프라이즈 분석 및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기업인 마이크로스트레티지, AI 지원 분석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와 파트너십 확대

• Microsoft는 Xbox Live 개인 정보 보호 주장을 해결하기 위해 2,000만 달러를 지불

• Microsoft 부회장 Smith, Activision 거절 이후 영국 재무 장관 면담 예정

5) 아마존

• 인도 Persistent Systems, 생성 AI 서비스를 위해 Amazon Web Services와의 계약 강화 (수십억 줄의 코드에 대해 교육을 받은 Amazon CodeWhisperer를 통해 Persistent 엔지니어는 주석 또는 기존 코드가 있는 코드를 생성하여 시간 소모적인 개발 활동을 건너뛰고 새로운 솔루션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어)

6) 메타

• 독일 규제 당국, 메타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사용자를 위한 새로운 제도 도입 검토 밝혀 (유저동의 없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계정 생성 연결 및 데이터 결합에 대한 선택권 부여 예정)

• 인스타그램, 자체 'AI 챗봇' 출시 예정

• LG AI 연구소는 수요일 한국의 팹리스 칩 디자이너인 FuriosaAI와 전략적 제휴를 발표

7) 엔비디아

• 중국 Ninebot, 새로운 자율 모바일 로봇 플랫폼에서 Nvidia와 협력

## 반도체 / 클라우드 & 인공지능 동향

1) 반도체

• 인텔, 전문가용 Arc Pro-A 시리즈용 새 GPU 2종 발표

• 4월 글로벌 반도체 매출 전월 대비 0.3% 증가

• AMD 대만의 CFO, Fintech와 반도체의 공생관계 강조

• Realtek, 반도체 라이벌 MediaTek을 고소 (MediaTek이 Realtek을 시장에서 몰아내고 스마트 TV 및 셋톱 박스에 사용되는 칩 업계를 독점하기 위해 IPValue Management Inc와 공모했다고 비난)

• UMC, 5월 매출 3개월 연속 증가

2) 클라우드 & 인공지능

• Snowflake, 새로운 정부 및 교육 데이터 클라우드 데뷔

• Cloud Security Alliance의 최근 보고서 에의하면 금융기관의 98%가 클라우드를 채택했으나 복수의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를 사용하고 있음

• 코딩작업에서 개발자들에게 사용되는 GitLab은 코드 작성 제안을 포함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예정

## 전기차 & 배터리 / 에너지 동향

1) 전기차 & 배터리

• GM, 중국에서 차세대 전기차를 위한 새로운 '프록시마' EV 디자인 컨셉과 플랫폼 공개

• Gotion, LMFP EV 배터리 공개 (VinFast의 에너지 사업부인 VinES와의 합작 투자를 통해 베트남으로 확장할 예정)

• GM, 올 가을 2024년형 Chevy Equinox EV를 출시할 예정

• 전기차 배터리 핵심원료 中 탄산리튬 값, 한 달 새 71% 급등

• 인도, 배터리 저장 프로젝트에 4억 5,500만 달러 인센티브 제공

2) 에너지

• 일본 Itochu Corp, 오사카 가스  및 도쿄 센추리와 공동으로 전력 저장 회사를 설립

• S&P Global, 올해 1분기에 500메가와트의 배터리 저장 장치가 텍사스 전기 신뢰성 위원회그리드에 연결되어 ESS 성장 1위 기록 중

• Biden-Harris 행정부, 청정 에너지 미래를 구축하고 미국 제조 붐을 가속화하기 위한 최초의 국가 청정 수소 전략 및 로드맵 발표 (2030년까지 관련 일자리 10만개 창출 공언)

##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미래에셋증권 조경상 팀장 / 수석

관련자료


댓글 1

최근글


새댓글


공지글


포인트랭킹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