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9.19 시장동향정리

컨텐츠 정보

본문

## 9월 19일 시장 동향 정리



## 미국 증시 마감


1) 주요 지수 동향


- DOW: 34,624.30p (+6.06p, +0.02%)

- S&P500: 4,453.53p (+3.21p, +0.07%)

- NASDAQ: 13,710.24p (+1.91p, +0.01%)

- 러셀2000: 1,834.30p (-12.73p, -0.69%)


• 특별한 이벤트 없이 FOMC를 앞둔 가운데 장중 국채금리가 2007년 이후 최고를 기록한 이후 소폭 안정세를 보이고 애플의 아이폰 15 선주문이 기존 모델에 비해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오며 애플이 1.69% 상승 


• 도이체 방크가 반도체 가격이 회복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며 마이크론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평가허자 반도체 업종이 상승, 국제유가가 작년 11월 이후 최고를 기록하자 에너지 업종의 강세


• 시장 전반적으로 개별 기업의 이슈에 따른 움직임을 보이며 주요 지수 상승 마감 


• 빅테크는 웨드부시가 아이폰 15 선주문량이 14에 비해 10~15% 증가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중국에서 초기 물량이 완판되었다는 소식이 나오는 등,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며 급등. 구글이 MS에 대한 맞대응으로 세일즈포스와 결합형 클라우드를 출시한다는 소식과 차세대 인공지능 제미니의 출시 임박 소식의 영향으로 상승하였음 


• 반도체는 도이체 방크를 비롯한 관련 분석에서 올 4분기 인공지능 클라우드 수요에 힘입어 DDR5를 중심으로한 메모리 가격 회복 전망이 나오며 마이크론을 비롯한 반도체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였음 (그러나 상승폭은 FOMC 이벤트로 제한)


• 자동차는 UAW 파업 중 스텔란티스가 새로운 임금 인상안을 제안하였으나 거부했다는 소식으로 레거시 기업의 주가가 하락했고 골드만삭스가 테슬라의 가격인하 정책으로 내년까지 수익성 하락이 전망 된다며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한다는 소식과 사우디 공장 설립 부인 소식 등으로 3% 하락하였음


2) 시장 주요 동향 정리 


(1) 애플 주가 상승 이슈 설명 


• 최근 애플 주가 하락의 원인은 중국 국영기업 및 유관 기관 내의 아이폰 반입 금지, 화웨이가 5G 폰을 출시한 데에 따른 중국내 경쟁 우려 등 중국 판매 부진이 있었음 


• JP 모건은 이런 환경 영향으로 아이폰 15출하량이 1000만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의 분위기였음 


• 예상보다 순조로운 사전주문과 중국내 판매 호조로 애플 주가가 상승하였으며 가격 상승 효과까지 고려하면 비교적 좋은 출발을 보이고 있음


(2) 테슬라, 사우디에 공장 진출 부인


• 결론적으로는 일론 머스크가 해당 소식에 대해 거짓이라고 언급함 


• 개인적으로 보기에도 테슬라가 사우디에 공장을 설립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사우디는 인건비 수준이 높고, 무엇보다 2019년 사우디 국부펀드가 테슬라 지분 전량을 매각하고 루시드로 환승함. 이때 이미 테슬라와 사우디의 우호는 깨졌음 


• 특히 사우디 국부펀드가 배후가 되어 테슬라 공개 매수 발언까지 했었던 시기에 지분 전량 매도를 한 이력이 있기 때문에 사우디의 요청에 응하지 않을 것으로 보임


• 한편 터키 대통령도 터키에 전기차 공장 설립을 제안했으나 테슬라는 멕시코와 인도 공장을 이미 설립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추가 설립은 하지 않을 것으로 보임 


• 이유는 테슬라의 재무제표에서 잉여현금흐름이 비교적 약한 모습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비투자는 부담으로 판단됨


• 골드만삭스의 테슬라 가격 인하로 인한 마진 약화에 대해서도 최근 글로벌 배터리 가격 하락에

의한 마진 여유를 고려하지 않고 판매 자체의 가격 하락과 수요 부진을 근거로 계산함


• EV의 수요부진이 있다면 배터리의 가격 하락이 더욱 신축적일 것이라는 기본적 가정을 무시한 분석 


(3) 고금리 지속과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 


• 월스트리트 저널이 흥미로운 통계를 기사로 내었음. 연착륙이라는 단어의 노출 빈도와 경기침체에 대한 연관성 이었는데, 통상적으로 연착륙이 자주 언급되면 ‘리세션’이 왔었다는 분석 


• 특히 최근 나타나는 에너지 상승이 재량지출을 위축시키는 동시에 인플레이션은 높이기 때문에 ‘스태그플레이션‘ 충격 우려까지 언급되었음


• 정말 그럴까? 에 대해서는 아이러니하게 같은 언론사의 다른 기자가 지금의 국제유가 100달러는 과거의 65달러 수준이라고 기사를 냄 


• 개인적으로 현재의 경기와 인플레이션 금리가 혼란스럽기 때문에 나온 기사들이라고 판단됨


# 시장 해설 


• 우리가 FOMC에서 기대해야 하는 문장은 ‘충분히 제한적인 영역에서 이제는 지켜봐야 한다’ 수준의 발언 


• 그러나 현재 상황은 꼭 그렇지는 않을 것 같다는 불안감이 있으며 FOMC 이후 질의 응답에서 유가 상승과 서비스하락 중 어떤 것을 더 선호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나올 것이 유력한데 이 답변이 힌트로 판단됨


• FOMC까지는 확인하는 것이 필요함 


3) 주요 기업 및 섹터 동향 


(1) 메가 테크 동향


• 테슬라


-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 일론 머스크에게 차기 테슬라 공장을 터키에 건설하도록 요청


- Sayarti, Tesla Power MENA와 전략적 파트너십 발표 


- 사우디, 테슬라와 전기차 공장 설립 초기 논의 (사우디 요청인데... 할까요? 사우디가 테슬라 지분 팔고 루시드 지분 산게 2019년 말인데) , 일론 부인


• 애플


- 애플, 아이폰 15 뒷면 유리 금 수리비 대폭 인하


- 애플 계약업체 폭스콘, 인도에 투자 두 배로 늘려


• 알파벳


- 세일즈포스와 구글의 파트너십 확대 (세일포스의 아인슈타인 코파일럿 및 구글 워크스페이스의 Duet AI를 통해 여러 플랫폼에서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어 : 참고로 “마소+오라클 vs 세일즈포스+구글” 지켜볼만 합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 MS, 홍콩에서 엔터프라이즈 AI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어 (AI 사용량이 지난 6개월 동안 홍콩에서 7배나 급증했다고 밝혀)


- MS와 오라클, Azure의 Oracle Cloud 플랫폼에서 Oracle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확대


• 아마존


- 아마존, AWS Storage Day에서 새로운 클라우드 스토리지 제품 공개 (데이터 전송량, 처리 속도 등 개선)


- 아마존, TV 네트워크 앱 광고 수익 30% 요구 


• 메타


- Meta Pixels를 통해 건강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에 대해 집단 소송에 직면한 Meta


• 엔비디아


- 엔비디아, 내년 매출에서 인텔 추월할 것 (블룸버그라는데 ... 출처를 못찾겠네요)


- 엔비디아 AI, 데이터브릭스와 협업 &nbs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새댓글


공지글


포인트랭킹


알림 0